조사보고서
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및 유관기관의 주류, 김치, 전통식품 등 조사보고서를 제공합니다.
- 산업진흥법이 말하는 전통주
-
- 1. 주류부문의 무형문화재 보유자가 제조한 술
- 2.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제조한 술
- 3. 농어업경영체 또는 생산자단체가 지역농산물을 주원료로 제조한 술 (지역특산주)
- 관습적으로 의미하는 전통주
- 한 나라나 지역 등에 과거에서부터 이어져오는 양조법으로 만든 술로, 전통적인 양조법을 계승 및 보존하여 빚는 술을 칭합니다. 한국의 정서 및 시대상을 반영하는 술로서 과거의 생활방식, 역사와 문화가 담겨있는 술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.
- 우리술의 종류
- 한국 전통주는 일반적으로 탁주, 약주, 소주로 분류됩니다. 상표에 표기되는 주종은 주세법에 명시된 일반 주류의 분류에 따라 탁주, 약주, 과실주, 소주, 일반 증류주, 리큐르, 기타 주류로 표시됩니다.
- 전통주 지식백과
-
식품명인 제73호-현경태(흑초) 2023-09-05
-
식품명인 제51호-최명희(소두장) 2023-09-05
-
식품명인 제63호-김영근(도토리묵) 2023-09-05
-
식품명인 제61호-김견식(병영소주) 2023-09-05
-
식품명인 제53호 –김영숙(복령조화고) 2023-09-05
-
식품명인 제45호-성명례(대맥장) 2023-09-05
-
식품명인 제71호-정영석(인삼정과) 2023-09-04
-
식품명인 제64호-강순옥(순창고추장) 2023-09-04
-
식품명인 제62호-서분례(청국장) 2023-09-04
-
식품명인 제38호-유정임(포기김치) 2023-09-04
-
식품명인 제33호-박순애(엿강정) 2023-09-04
-
식품명인 제21호 - 유영군(창평쌀엿) 2022-09-13